사업개요

중소기업군 전체의 IP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업계 니즈를 반영할 수 있는 다수 기업이 참여하여 업계 공통 신기술ㆍ애로기술에 대한 IP 전략을 도출하고 R&D과제까지 발굴하도록 과제 수행을 지원해 드리는 사업입니다.
 
☞ 동종업계 또는 관련업계의 다수의 중소기업
 
☞ 기업군 공통핵심기술 IP전략 과제 지원

지원분야 및 대상

ㅇ 지원대상 : 동종업계의 다수 기업(세부분야별 또는 공정단계별 다수 기업 등) 또는 관련업계의 다수 기업(공통핵심기술 공유 또는 협업이 가능한 기업 등)

 

ㅇ 신청자격
- 동종업계 또는 관련업계의 다수의 중소기업(3개 社 이상)

  * 과제참여기업은 기술분야별·업종별 기업군을 관리하는 기관(예시: 기관,협회, 업종별조합 등)과 연관된 기업이어야 하고, 과제신청시 반드시 기업군관리 기관과 함께 신청하여야 함

  * 대학·연구기관 및 기타 연구개발 관련 기관 등도 기술자문 및 성과 공유·확산 등을 위하여 공동 참여 가능

기업구분

판단 기준

비고

중소기업

중소기업기본법 2조에 따른 중소기업

 중소기업 현황정보시스템

(sminfo.mss.go.kr)에서 확인가능

 

 

ㅇ 신청 및 지원제외 사항

 

신청  지원 제외 사항

공고내용과의 적합성

- 신청과제가  사업의 기본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 신청과제의 업무범위가 명확하지 않거나, 지나치게 넓은 경우

의무사항 불이행 여부

- 신청기업이 접수마감일 기준 구비서류 미제출한 경우

- 정해진 기한  기업 부담금 납부 등의 의무사항을 불이행한 경우

참여제한 여부

- 신청기업이 접수마감일 기준 국가 연구개발 사업에 참여제한 중인 경우

채무불이행

부실위험 여부

- 기업이 부도 또는 폐업 상태인 경우

- 국세지방세 체납 또는 금융기관으로부터 채무불이행이 확인된 경우

- 부채비율이 1,000% 이상이거나, 자본전액잠식 상태인 경우

- 최근년도 결산감사 의견이 의견거절 또는 부적정 경우

지원조건 및 내용

ㅇ 지원규모 및 지원대상 기술분야

구분

지원규모

과제기간

기업부담금

현금

현물

기업군 공통핵심기술 IP전략

16개 과제 내외

24주 내외
(6개월 내외)

6.3백만원

56.7백만원

 

 

 

지원대상 기술분야

IoT, 환경기술, 바이오, 에너지, 자동차, 조선해양, 의료기기, AR/VR, 첨단소재, 인공지능, 로봇/기계, 전력반도체, 나노탄소, 기타

 

 

ㅇ 추진체계 : 분야별 中企들이 공통으로 필요로 하는 신기술‧애로기술 발굴과 R&D 후속지원을 위하여 협업기관과 연계하여 공동 추진

지원절차

사업신청

기업군 선정평가

예비선정 통보 및 계약체결

협력기관 모집공고

협력기관 선정평가

기업군 공통핵심 기술 IP전략지원

사후관리

신청방법 및 서류

ㅇ 신청 방법 : 온라인 접수
- 한국특허전략개발원 IP R&D사업관리 시스템(biz.kista.re.kr/ippro)
 
ㅇ 신청 서류 : 사업신청서, 사업참여 및 기업부담금 납부동의서, 참여기업 및 인력 확인서 등

가점우대제도

ㅇ 해당없음

주관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주관기관담당부서전화번호홈페이지URL담당자명담당자 이메일

한국특허전략개발원 기업군성장팀
02-3287-4253 https://www.kista.re.kr/
사업담당자
ipwide@kista.re.kr

접수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접수기관담당부서전화번호홈페이지URL담당자명담당자 이메일

한국특허전략개발원 기업군성장팀
02-3287-4253 https://www.kista.re.kr/
사업담당자
ipwide@kista.re.kr

기타사항

※ 자세한 사항은 한국특허전략개발원(www.kista.re.kr) → 알림ㆍ소식 → 사업정보 참조(☞바로가기)

문의처

ㅇ 문의처 

구분(담당부서)

전화  이메일

내용

관리기관

한국특허전략개발원
(기업군성장팀)

 

02-3287-4253,4291,4258
ipwide@kista.re.kr

 

신청ㆍ접수, 사업신청서 작성, 선정평가, 유의사항, 사업관리시스템 기관등록, 회원가입, 서류제출 등

 

 

 

 

 

http://www.bizinfo.go.kr/see/seea/selectSEEA140Detail.do?pblancId=PBLN_000000000044288&menuId=80001001001

불러오는 중입니다...

 

 

 

#정부지원사업, #IP정부지원, #핵심기술지원, #핵심기술 정부지원

사업개요

한류 콘텐츠 관련 기업의 지재권 보호 역량 및 해외 진출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콘텐츠 및 파생상품의 지식재산 보호 컨설팅 비용의 일부를 지원해 드리는 사업입니다. 
 
☞ 해외 진출(예정) 문화 콘텐츠 관련(기획, 제작, 유통, 상품화 등) 중소기업

 

☞ 컨설팅 비용의 70%(과제당 최대 42.7백만 원)

지원분야 및 대상

ㅇ 지원 대상       
- 해외 진출(예정) 문화 콘텐츠 관련(기획, 제작, 유통, 상품화 등) 중소기업(개인사업자 포함)
ㆍ 중소기업 : 「중소기업기본법」제2조에 따른 중소기업
ㆍ 문화콘텐츠 : 「문화산업진흥기본법」제2조제4호에 따른 콘텐츠
※ 참여기업 : 신청 콘텐츠에 이해관계를 갖는 기업은 기업규모의 제한없이 신청기업과 함께 컨설팅 지원에 참여 가능(예시 : 문화산업전문회사, 콘텐츠 라이선서 등)
- 해당 콘텐츠 관련 해외 지식재산권이 현재 또는 향후 지원기업 또는 참여기업에게 일부 또는 전부 귀속되는 경우에만 지원 가능
- 콘텐츠 유통ㆍ이용에 해당하는 경우, 콘텐츠 자체의 보호가 필요한 경우만 지원 가능

※ 예시 : 웹툰서비스 플랫폼은 웹툰 콘텐츠 자체의 보호가 아니므로 지원 대상에 포함되지 않음

지원조건 및 내용

ㅇ 지원 내용 
- 지원내용 : 콘텐츠 및 파생상품의 지식재산 보호를 위한 컨설팅 비용 지원 
- 지원규모 : 컨설팅 비용의 70%(과제당 최대 42.7백만 원)
ㆍ 기업규모별 기업부담 현금ㆍ현물 비율

구분

정부지원 비율

기업부담 비율

현금

현물

창업 7 이내 소기업

70%

10%

20%

중소기업

70%

20%

10%

※ 정부지원금 및 기업부담금 중 현금은 컨설팅 수행기관의 컨설팅 비용으로 지급
※ 현물은 컨설팅 기간 중 컨설팅을 위한 지원기업의 인력 참여로 인정 가능

 

ㅇ 지원기간(협약기간) : 협약체결일로부터 약 4개월

 

ㅇ 지원 유형

지원 유형

                           지원 대상

컨설팅 내용

기획단계

(필수)

     콘텐츠가 제작 중이거나 완성된 경우

            (배포유통 중인 경우 포함)

콘텐츠 기반 해외 진출, 상품화(상품 디자인 포함) 전략

 해외 지식재산보호 전략 제공

수익화단계

(선택)

계약

콘텐츠 관련 해외 판권계약 등이 계획 또는 진행 중인 경우

계약서 분석  수정안 제시를 포함한 해외 라이선스 전략 제공

대응

해외 지식재산권의 3 선점, 모조품 유통  콘텐츠 관련해외 지식재산권이 침해된 경우

선점당한 해외 지식재산권의 회수, 취소, 무효전략

또는 권리행사 전략 제공

모조품 유통 대응을 위한 권리행사 전략 제공

 

※ ‘계약’ 및 ‘대응’ 지원유형은 단독으로 신청할 수 없으며, 기획단계 지원유형과 동시신청만 가능

 

ㅇ 지원(컨설팅 제공) 방법 
- 선정된 지원기업은 보호원에 사전 등록된 컨설팅 전문기관 중에서 컨설팅을 수행할 기관을 직접 선택
- 컨설팅은 원칙적으로 IP전문기관이 상품화전문기관을 활용하여 함께 수행
- 예외적으로, 지원기업이 자체적으로 콘텐츠 상품화를 추진할 수 있는 인적ㆍ물적 능력을 충분히 보유하고 있음을 증명한 경우, IP전문기관의 단일 컨설팅 수행 가능 
※ IP전문기관 : 콘텐츠ㆍ파생상품의 지식재산권 보호 관련 IP 법률서비스를 제공하는 특허·법무법인(사무소) 또는 IP서비스업체를 의미함       
※ 상품화전문기관 : 콘텐츠ㆍ파생상품의 상품화를 지원하는 제품디자인, 해외시장조사, 라이선싱 관련 업체 등을 의미함  

 

ㅇ 2019년 한류 콘텐츠 지식재산권 보호 컨설팅 지원기업 모집 공고문, 사업안내자료(☞다운받기)

지원절차

공고  신청 접수

신청서류 사전 검토

선정 심사(서면평가)

선정 통지

컨설팅 수행기관 선택  기업부담금 납부

협약체결(삼자협약)

신청방법 및 서류

ㅇ 신청 방법 : 이메일 접수
- E-mail : ipkc@koipa.re.kr
 
ㅇ 신청 서류 : 신청서, 사업자등록증, 콘텐츠의 제작(국내외)유통ㆍ계약ㆍ상품화 라이선스 등 현황 자료 등

가점우대제도

ㅇ 해당없음

주관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주관기관담당부서전화번호홈페이지URL담당자명담당자 이메일

한국지식재산보호원 인식문화팀
02-2183-5891 http://www.koipa.re.kr/
사업담당자
jhkim@koipa.re.kr

접수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접수기관담당부서전화번호홈페이지URL담당자명담당자 이메일

한국지식재산보호원 인식문화팀
02-2183-5891 http://www.koipa.re.kr/
사업담당자
jhkim@koipa.re.kr

기타사항

※ 자세한 사항은 한국지식재산보호원(www.kipra.or.kr) → 알림마당 → 사업공고 참조(☞바로가기)

문의처

ㅇ 한국지식재산보호원 인식문화팀   
- Tel : 02-2183-5891, 5893 / E-mail : jhkim@koipa.re.kr, bonjour@koipa.re.kr

 

http://www.bizinfo.go.kr/see/seea/selectSEEA140Detail.do?pblancId=PBLN_000000000044317&menuId=80001001001

 

2019년 2차 한류 콘텐츠 지재권 보호 컨설팅 지원기업 모집 공고

기업마당 : 중소기업 성공 길잡이 (http://www.bizinfo.go.kr)

www.bizinfo.go.kr

 

 

 

#한류, #한류지원, #한류콘텐츠지원, #한류콘텐츠 정부지원

사업개요

스마트공장 구축 또는 구축 예정인 기업에 대기업 퇴직인력 등 기술전문가(스마트 마이스터)를 파견하여 스마트공장 全과정(계획-실행-운영) 지도 및 제조 노하우 전수를 도모해 드리는 사업입니다.
 
☞ 스마트공장 구축 또는 구축 예정인 중소ㆍ중견 제조기업
 
☞ 마이스터 인건비 100% 지원

지원분야 및 대상

ㅇ 신청자격
- 스마트공장 구축 또는 구축 예정인 중소ㆍ중견 제조기업

 

ㅇ 지원 제외대상
- 휴ㆍ폐업중인 기업
- 국세 및 지방세 체납 중인 기업
- 유흥ㆍ향락업, 숙박ㆍ음식점 
- 불건전 오락용품 제조업

지원조건 및 내용

ㅇ 지원내용
- 스마트공장 구축 사업계획 수립, 구축과정 지도, 구축 후 성과 제고, 제조현장 개선, 기술애로 해결 등

 

ㅇ 지원규모 및 조건 : 50개사 내외, 마이스터 인건비 100% 지원
- 마이스터 파견기간* : 3개월(주 2일 근무)
  * 단, 파견기간 중 월 1회는 지역 제조혁신센터에서 교육 및 상담 실시

지원절차

사업신청

참여기업선정

협약체결

기업

대한상공회의소

대한상공회의소  참여기업

기업현장지원

성과확인

마이스터

대한상공회의소

신청방법 및 서류

ㅇ 신청 방법 : 이메일 접수
- E-mail : qlib@korcham.net
※ 단, 스마트공장 구축 및 고도화 사업과 동시에 신청하는 기업은 스마트공장사업관리시스템(https://www.smart-factory.kr/)에서 마이스터 활용 체크로 대체
 
ㅇ 신청 서류 : 참가신청서, 개인ㆍ기업정보활용동의서, 사업자등록증 등

가점우대제도

ㅇ 해당없음

주관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주관기관담당부서전화번호홈페이지URL담당자명

대한상공회의소 중소기업제조혁신팀
02-6050-3855 http://www.korcham.net/
사업담당자

접수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접수기관담당부서전화번호홈페이지URL담당자명

대한상공회의소 중소기업제조혁신팀
02-6050-3855 http://www.korcham.net/
사업담당자

기타사항

※ 자세한 사항은 중소벤처기업부(www.mss.go.kr) → 알림소식 → 법령정보 → 훈령ㆍ예규ㆍ고시ㆍ공고 참조(☞바로가기)

문의처

ㅇ 대한상공회의소 중소기업제조혁신팀(02-6050-3855)

 

http://www.bizinfo.go.kr/see/seea/selectSEEA140Detail.do?pblancId=PBLN_000000000044367&menuId=80001001001

불러오는 중입니다...

 

 

#스마트공장지원, #스마트팩토리지원, #스마트공장정부지원, #스마트팩토리정부지원

사업개요

디바이스 창작문화 저변 확산을 위하여 6개지역 디바이스랩(대구ㆍ전주ㆍ충북ㆍ용인ㆍ송도ㆍ판교)의 스마트 디바이스 분야 대학 동호회 및 예비 창업자를 대상으로 '2019년 제6회 ICT 스마트 디바이스톤' 행사를 개최합니다.

 

☞ 스마트 디바이스 제작에 관심이 있는 기획자, 디자이너, 개발자 등
 
☞ ICT 디바이스랩 상패 및 상품 수여

지원분야 및 대상

ㅇ 모집대상
- 스마트 디바이스 제작에 관심이 있는 기획자, 디자이너, 개발자 등
- 디바이스톤(1박2일) 행사기간 동안 참여 가능한 스마트 디바이스에 관심 있는 일반인
※ 선발우대사항 : ICT 디바이스랩 장비 활용 가능자, 개발ㆍ디자인ㆍ창업 동아리/동호회 등 커뮤니티 활동 경험자 및 대회 참여 경력자 등

지원조건 및 내용

ㅇ 주제 : 5G 시대를 주도할 차세대 스마트 디바이스

 

ㅇ 모집인원 : 지역별 30명 내외(6개팀 기준)

 

ㅇ 수상혜택
- 최우수 1개팀 : ICT 디바이스랩 상패 및 상품(100여만원 상당)
- 우수 1개팀 : ICT 디바이스랩 상패 및 상품(50여만원 상당)
※ 판교, 송도, 용인, 충북, 전주, 대구 등 6개 지역에서 최우수 1개팀, 우수 1개팀을 선정하여 개별수여

 

ㅇ 일시ㆍ장소

지역

 

 행사

 

대구

ICT 디바이스랩 대구

19. 7. 13.() ~ 7. 14.()

지역별 사전행사는

참가자 선정 이후

별도 안내 예정

전주

ICT 디바이스랩 전주

19. 7. 20.() ~ 7. 21.()

충북

ICT 디바이스랩 충북

19. 7. 27.() ~ 7. 28.()

용인

ICT 디바이스랩 용인

19. 8. 3.() ~ 8. 4.()

송도

ICT 디바이스랩 송도

19. 8. 10.() ~ 8. 11.()

판교

ICT 디바이스랩 판교

19. 8. 17.() ~ 8. 18.()

 

신청방법 및 서류

ㅇ 신청 방법 : 온라인 접수
- ICT 디바이스랩 홈페이지(devicelab.kr)
 
ㅇ 신청 서류 : 참가신청서, 참가자 서약서, 개인정보 이용 동의서 등

가점우대제도

ㅇ 해당없음

주관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주관기관담당부서전화번호홈페이지URL담당자명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지역별 주관기관
하단의 문의처 참조 http://www.iitp.kr/
사업담당자

접수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접수기관담당부서전화번호홈페이지URL담당자명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지역별 주관기관
하단의 문의처 참조 http://www.iitp.kr/
사업담당자

기타사항

※ 자세한 사항은 대구테크노파크(www.ttp.org) → 알림마당 → 사업공고 참조(☞바로가기)

문의처

ㅇ 지역별 2019 ICT 스마트 디바이스톤 문의처
- 2019 ICT 스마트 디바이스톤 대구(Tel : 053-602-1762, E-mail : iyh@ttp.org) 
- 2019 ICT 스마트 디바이스톤 전주(Tel : 063-281-4116, E-mail : snowjeong@jica.or.kr) 
- 2019 ICT 스마트 디바이스톤 충북(Tel : 043-210-0826, E-mail : wbwb@cbkipa.net)
- 2019 ICT 스마트 디바이스톤 용인(Tel : 031-323-4675, E-mail : sykim@dipa.or.kr) 
- 2019 ICT 스마트 디바이스톤 송도(Tel : 032-715-7912, E-mail : jyp@3dpro.or.kr)
- 2019 ICT 스마트 디바이스톤 판교(Tel : 031-710-8716, E-mail : jhg@gbsa.or.kr)

 

http://www.bizinfo.go.kr/see/seea/selectSEEA140Detail.do?pblancId=PBLN_000000000044319&menuId=80001001001

불러오는 중입니다...

 

#스마트디바이스지원, #스마트디바이스정부지원, #스마트디바이스참가

사업개요

담보력이 부족한 혁신형 중소ㆍ중견기업의 성장 지원 및 개발기술의 사업화 촉진을 위하여 기술평가기관의 기술성ㆍ사업성 평가 비용을 지원해 드리는 사업입니다.
 
☞ 중소기업기본법에 의한 중소기업으로서 창업 7년을 넘지 않은 기업 또는 중견기업 성장촉진 및 경쟁력 강화에 관한 특별법에 의한 중견기업
 
☞ 150만원 이내 지원

지원분야 및 대상

ㅇ 신청자격(혁신형 중소기업ㆍ중견기업)
- 「중소기업기본법」에 의한 중소기업으로서 신청일 현재 다음 각호의 1에 해당하며 창업 7년을 넘지 않은 기업 또는 「중견기업 성장촉진 및 경쟁력 강화에 관한 특별법」 에 의한 중견기업
1.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 상의「벤처기업」
2. “중소기업 기술혁신 촉진법” 상의「기술혁신형중소기업(이노비즈기업)」
3. “중견기업 성장촉진 및 경쟁력 강화에 관한 특별법” 상의「중견기업」
4. 정부 및 관련기관으로부터 NET, NEP, 전력신기술, EE, GS, GQ, GR, 환경마크, K마크 등 인증을 받은 기업으로서 인증 유효기간 내의 기업
5. 특허권 및 실용신안권 보유기업 (선등록된 실용신안권의 경우 유지결정을 받은 것이어야 함)
6. “기초연구진흥 및 기술개발지원에 관한 법” 상의 기업부설연구소를 보유한 기업으로서, 연간 연구개발비가 5천만원 이상이고 연간 총매출액에 대한 연구개발비  비율이 100분의 5이상인 기업
7.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의 제2조 제1호가 정하는 사업을 수행한 기업으로서, 최종평가결과 성공판정을 받고, 최종평가 후 2년 이내의 기업
8.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상의 녹색기술ㆍ녹색사업 인증 및 녹색전문기업 확인을 받은 기업
9. NTB(국가기술은행) 등록 기술을 이전받아 사업화하는 기업
10.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상의 한국금융투자협회가 증권시장에 상장되지 아니한 주권의 장외매매거래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개설한 장외시장에서 등록 또는 지정된 기업
 ※ 상기 제4호, 제5호, 제7호, 제8호의 기업은 해당 기술(정부 인증, 특허ㆍ실용신안권, 정부 기술개발지원과제)과 기술평가대상 기술간 동일성이 인정되어야 함
 ※ 필요시 상기 1~10호 기업의 기술평가 비용을 지원하기 위해서 투자기구가  해당 기업을 대신하여 기술평가 비용 지원을 신청할 수 있음

지원조건 및 내용

ㅇ 기술평가비용의 지원내역
- 혁신형 중소ㆍ중견기업이 사업화 자금 조달(투자 유치 및 M&A)을 목적으로 기술평가기관의 기술평가를 받을 경우, 정부가 기술평가비용의 일부를 지원함 

지원항목

평가수행기관

기술평가비용

정부지원금

투자기구에 의한 사업화자금 투자심사용

기술평가 비용 지원

 15년에 산업부에서 개발한 투자용 기술평가 모형을 활용하여 평가를 수행하는 기술평가기관

* 기술의 이전  사업화 촉진에 관한 법률35조에 의해 지정된 기술평가기관  사업에 참여하는 기관

- 기술보증기금, 나이스평가정보, 이크레더블, 나이스디앤비, 한국기업데이터, 농업기술실용화재단

150만원

(부가세 별도)

150만원 이내


※ 정부지원금 이외의 비용(부가세)은 신청기업 또는 투자기구가 부담함
※ 지원항목 中 투자기구(투자기관 포함)
ㆍ 「중소기업창업지원법」에 의한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 또는 조합
ㆍ 「벤처기업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에 의한 한국벤처투자조합
ㆍ 「여신전문금융업법」에 의한 신기술사업금융업자 또는 투자조합
ㆍ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의한 창업ㆍ벤처전문 경영참여형 사모집합투자기구
ㆍ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에 의한 투자매매업자ㆍ투자중계업자(증권회사)
ㆍ 「은행법」에 의한 일반은행(시중은행, 지방은행) 및 「중소기업은행법」등 개별 특수은행법에 의해 설립된 특수은행(농협은행, 수협은행, 중소기업은행, 한국산업은행, 한국수출입은행)의 투자부서 
ㆍ 기타 투자관련 법령에서 정한 투자기구 중 동 사업의 목적 달성을 위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투자기구 등
※ 지원대상 기술분야 : 5대 신산업 선도 프로젝트 분야 우대

  * 5대 신산업 선도 프로젝트 (예시)

분야

주요 내용

5대신산업

전기자율주행차

- 고속도로 자율주행차  전기차 

IoT 가전

- 빅데이터, 인공지능 연계 IoT 가전 기술 

- 가전, 건설, 통신, 자동차, 의료  융합 플랫폼 

에너지신산업

- 첨단 전력 인프라 구축, 분산전원 연관 기술 

바이오헬스

- 빅데이터+AI 기반 신약  의료기기서비스 

- AI 기반 스마트헬스케어 핵심기술 

반도체디스플레이

- 차세대 메모리파워반도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 평가비용 지원은 기업당 사업기간 내 1회로 제한하며, 동일 기술에 대해 평가비용을 이미 지원받은 경우 평가비용을 재지원하지 않음

 

ㅇ 국가기술은행-혁신형 기술금융 지원사업 안내(☞자세히보기)

지원절차

신청접수

기술평가

심사  자금지원

신청방법 및 서류

ㅇ 신청 방법

- 투자심사용 기술평가를 받고자 하는 기업은 신청자격 해당 여부를 확인한 후,  투자기구 담당자와 사전 상담을 진행하고 사전 상담확인서를 발급받아야 함

- 사전 상담확인서 등 관련서류를 국가기술은행(www.ntb.kr)에서 다운로드 받아 작성한 후, 기술평가 수행기관(하단의 문의처 참조)에 신청

 

ㅇ 신청 서류 : 신청자격과 관련된 증빙서류, 사전 상담확인서, 기술평가신청서 등(☞다운받기)

가점우대제도

ㅇ 해당없음

주관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주관기관담당부서전화번호홈페이지URL담당자명

한국산업기술진흥원 기술금융팀
(대표번호) 02-6009-4346 http://www.kiat.or.kr/
사업담당자

접수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접수기관담당부서전화번호홈페이지URL담당자명

한국산업기술진흥원 기술평가 수행기관
하단의 문의처 참조 http://www.kiat.or.kr/
사업담당자

기타사항

※ 자세한 사항은 산업통상자원부(www.motie.go.kr) → 예산ㆍ법령 → 고시ㆍ공고 → 공고 참조(☞바로가기)

문의처

ㅇ 신청방법, 진행절차, 평가비용지원 관련 문의
- 한국산업기술진흥원 기술금융팀(대표번호 : 02-6009-4346)

 

ㅇ 기술평가 수행기관  : 평가방법, 평가절차, 평가일정 협의 등 관련 문의
- 기술보증기금 중앙기술평가원(대표번호 : 02-2155-3773)
- 나이스평가정보(대표번호 : 02-2124-6912)
- 이크레더블(대표번호 : 02-2101-9200) 
- 나이스디앤비(대표번호 : 02-2122-2313) 
- 한국기업데이터(대표번호 : 02-3215-2592) 
- 농업기술실용화재단(대표번호 : 063-919-1000)

 

 

http://www.bizinfo.go.kr/see/seea/selectSEEA140Detail.do?pblancId=PBLN_000000000044335&menuId=80001001001

불러오는 중입니다...

 

#중소기업지원, #중소기업기술평가, #중소기업기술평가비용, #중소기업정부지원

사업개요

소상공인협동조합의 설립 및 운영 지원을 위하여 전국 7곳(서울강원, 경기인천,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 대전충청세종, 전북, 광주전남제주)에 소상공인협업아카데미를 운영하여 상담, 교육ㆍ컨설팅, 인큐베이팅 등을 지원합니다.
 
☞ 협업을 희망하는 소상공인 및 협동조합 
 
☞ 상담, 교육ㆍ컨설팅, 인큐베이팅 등 관련 프로그램 운영

지원분야 및 대상

ㅇ 지원대상 : 협업을 희망하는 소상공인 및 협동조합

지원조건 및 내용

ㅇ 지원내용 : 상담, 교육ㆍ컨설팅, 인큐베이팅 등 관련 프로그램 운영

 

ㅇ 2019년 소상공인협업아카데미 프로그램

구분

지원내용

공통

상담

일반상담 : 아카데미 이용  지원 서비스, 협동조합 설립절차 관련 상담  관련 정보제공 

전문상담 : 세무, 노무, 법률, 마케팅, R&D, 갈등해결 

교육

찾아오는교육 : 협동조합 설립경영폐업 관련 기본교육

찾아가는교육 : 협동조합 기본교육 + 세무, 노무, 법률, 마케팅  맞춤형 전문교육

현장체험교육 : 우수 협동조합 현장방문  원데이 체험교육

컨설팅

설립컨설팅 : 설립 프로세스 지원

경영컨설팅 : 경영애로 문제점 파악  해결방안 제시

해산컨설팅 : 해산 프로세스 지원

인큐베이팅

협동조합 설립  필요한 교육, 컨설팅, 멘토(선배조합) 매칭  종합 지원

동아리

협동조합의 자발적 학습동아리 운영 지원

네트워킹

협동조합간 비즈니스(거래) 활성화, 운영 노하우 전파  선후배 협동조합 간의 화합친목도모를 위한 교류행사 운영

점검관리

소상공인 협업 활성화 공동사업 참여 협동조합에 대한 진도점검, 경영애로  행정지원

자율

(자율)

아카데미별 특화맞춤형 프로그램 기획운영

※ 공통 프로그램(점검ㆍ관리 제외)은 지역구분 없이 신청 및 참여(이용)할 수 있습니다.
※ 자율프로그램은 광주전남제주 소상공인협업아카데미만 운영합니다.

 

ㅇ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소상공인협업아카데미 안내(☞바로가기)

지원절차

신청접수

검토승인

프로그램 운영참여

사후관리

신청방법 및 서류

ㅇ 신청 방법 : 지역별 아카데미로 문의

가점우대제도

ㅇ 해당없음

주관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주관기관담당부서전화번호홈페이지URL담당자명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지역별 아카데미
하단의 문의처 참조 http://www.semas.or.kr/
사업담당자

접수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접수기관담당부서전화번호홈페이지URL담당자명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지역별 아카데미
하단의 문의처 참조 http://www.semas.or.kr/
사업담당자

기타사항

※ 자세한 사항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www.semas.or.kr) → 알림마당 → 공지사항 참조(☞바로가기)

문의처

ㅇ 중소기업통합콜센터(국번없이 1357)

 

ㅇ 지역별 소상공인협업아카데미

구분

                             주소  연락처

운영기관

서울강원 소상공인협업아카데미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 547, 부천빌딩 4

()한국협동조합

창업경영지원센터

 

02-832-1970

 

02-832-1978

이메일

kcdc@kcdc.co.kr

경기인천 소상공인협업아카데미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시민대로 161, 안양무역센터 15

한국생산성본부

 

031-388-9964

 

031-388-9965

이메일

sbpark@kpc.or.kr

부산울산경남 소상공인협업아카데미

 

부산광역시 금정구 중앙대로 1883, 현대빌딩 2

()사회적기업연구원

 

051-911-0677

 

050-4926-0028

이메일

coa@risebiz.or.kr

대구경북 소상공인협업아카데미

 

대구광역시 중구 국채보상로 489, 유창빌딩 5

()커뮤니티와경제

 

053-269-9001

 

053-217-5003

이메일

dgcoopso@daum.net

대전충청세종 소상공인협업아카데미

 

대전광역시 중구 대흥로10번길 9, 2

사회적경제연구원

사회적협동조합

 

042-221-9917

 

042-331-0222

이메일

c-cmail@hanmail.net

전북 소상공인협업아카데미

 

전라북도 전주시 덕진구 팔과정로 164, 4

()전라북도

경제통상진흥원

 

063-711-2121

 

063-711-2097

이메일

sdy@jbba.kr

광주전남제주 소상공인협업아카데미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중앙로 43, BYC빌딩 7

사회적협동조합 살림

 

062-381-4302

 

062-384-1137

이메일

sbiz@socialcenter.kr

 

 

http://www.bizinfo.go.kr/see/seea/selectSEEA140Detail.do?pblancId=PBLN_000000000044351&menuId=80001001001

불러오는 중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지긋지긋한 모기 퇴치하는 생활용품을 소개해 드릴게요.

이제 날씨가 더워지면서 슬슬 모기들이 보이는 곳이 있어요. 날도 더운데 모기까지 웨웽거리면 잠도 설치게 되고,

다음날 예민해지고, 주변사람들과 트러블까지 생기게 하는 모기...이번 기회에 사은품까지 준다고 하니 모기 퇴치를 위한 준비를 해보세요.

 

https://bitl.bz/IYghWy

 

[사은품이벤트] 번트리 모기퇴치기 - [옵션] 모기유인제

 

oevery.com

번트리 모기퇴치기 소개

"모기가 좋아하는 자외선과 냄새를 이용해 유인, 빠르게 흡입해 자연 건조하는 무독성 퇴치기"

날씨가 따듯해지면 찾아오는 반갑지 않은 손님들, 모기와 각종 해충! 그중 모기는 가장 많은 인간을 사망케 이르는 동물 1등을 차지한 단연 최고로 피하고 싶은 행충입니다. 그런 모기를 물리치고자 뿌리는 약과 지독한 향기의 향은 또 다른 고민과 괴로움을 줍니다. 여기, 무색, 무취, 무연, 무독성으로 모기와 해충을 잡아주는 UV퇴치기, '번트리 모기 퇴치기'를 소개합니다. 365nm파장의 자외선과 해충이 좋아하는 향기로 유인한 후 빠르게 흡입하여 자연건조, 즉 탈수시켜해치워줍니다. 조용하고 빠르게, 믿을수 있는 퇴치기로 '번트리'를 추천합니다.

 

 

 

이상 모기퇴치를 위한 모기퇴치기 소개를 마칩니다.

 

 

 

#모기유인제, #모기퇴치기, #UV-LED램프, #30데시벨저소음에간편한사용방법, #모기유인, #모기죽이기, #모기퇴치잘하는방법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블로그를 통해서 호텔 예매시 파격적인 할인을 하는 익스피디아를 소개해 드릴게요. 얼마전에도 할인코드를 알려드렸었는데요, 그 할인코드는 6월까지만 사용가능 한 코드에요.

이번 할인코드는 7월까지 사용 가능 하니 필요하신 분들은 마구마구 사용해주세요.

 

https://app.ac/CEcP6WS33

불러오는 중입니다...

위의 링크로 들어가셔서 화면에 나오는 할인코드를 입력하시면 추가로 5%할인되요.

"지금 ***** 쿠폰 코드를 사용하세요!" <--라는 글자가 화면 중간에 있어요.

 

익스피디아의 장점

1. 항공부터 호텔까지, 원스톱 여행 플랫폼

2. 항공 구매시, 호텔추가 할인

3. 강력한 할인과 적립, 익스피디아 리워드 프로그램

 

4. 국문으로 편하게, 고객 콜센터 & 이메일 고객센터 이용가능

보통 해외여행 예약은 저렴하게 하려면 영어를 잘 했어야 하는데 익스피디아는 국문콜센터를 운영하니 누구나 저렴하게 예약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요.

이번 행사는 7월31일 까지만 가능하니 해외여행 준비하시는 분들은 익스피디아에서 저렴하게 예약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해요.

 

http://bestmore.net/click.php?m=expedia&a=A100653927&l=9999&l_cd1=3&l_cd2=0&tu=https%3A%2F%2Fwww.expedia.co.kr%2Fg%2Fmb%2Flinkprice%3Flangid%3D1042%26siteid%3D100240%26affcid%3Dkr.network.linkprice.gmt.hotel

불러오는 중입니다...

 

 

 

#해외여행, #해외여행할인코드, #해외여행익스피디아, #해외여행추천, #해외여행행상, #해외여행이벤트, #해외여행할인, #해외여행예약사이트, #해외여행예매사이트, #해외여행항공권, #해외여행호텔예약, #해외여행호텔, #해외여행숙박, #해외여행숙박예야, #해외여행숙박예매, #해외여행숙박예매, #해외여행호텔예매, #익스피디아할인코드, #익스피디아6월할인코드, #익스피디아7월할인코드, #해외여행할인코드, #호텔예약할인코드, #호텔예약6월할인코드, #호텔예약7월할인코드, #휴가철여행지추천, #숙박예매, #키즈펜션할인코드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