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번에는 완전 쉬운 파워포인트 초간단 단축키를 알려드릴게요.

아마 모르시는 분보다 아시는 분이 더 많을 거라고 생각되지만,

모르는 분들도 은근히 있더라구요.(특히..제가 있는 곳..)

그래서 알면 편한 단축키를 알려드릴게요.

 

SHIFT + F9 : 눈금선

ALT + F9 : 격자선

ㅁ + 한자키 : 특수문자

CTRL + [ : 글자크기줄이기

CTRL + ] : 글자크기키우기

CTRL + M : 새슬라이드추가

F5 : 슬라이드쇼 첫페이지부터

SHIFT + F5 : 슬라이드쇼 현재위치부터

 

https://www.youtube.com/watch?v=PTC1GtQbUWA

동영상을 보시면 금방 따라하기 쉬우실 거에요.

그럼 파워포인트 초간단 단축키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도커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볼게요.

도커가 세상에 나온지 6년이 지난 지금,

IT관련 직업을 가지고 있지만,

도커를 제대로 알고 있는 사람도 있고

이름 정도만 알고 있는 사람도 있어요.

저 역식도 도커를 이름 정도만 알고 있는 사람 중에 하나에요.

그래서 도커에 대해 하나하나 알아보면서 여러분들과 내용을

공유해보려고 해요.

도커의 기능에 대해서 알아볼게요.

도커는 이미지를 만드는 기능, 공유하는 기능, 실행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요.

그럼 먼저 이미지를 만드는 기능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드릴게요.

도커는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필요한 모든 것을 하나로 모아서

이미지를 만드는데요, 이 이미지가 컨테이너의 바탕이 된다고 해요.

도커 이미지는 수동으로 만들수도 있고, 자동으로 만들수도 있어요.

자동으로 만드는 것은 Dockerfile이라는 설정을 만들어서 자동으로

이미지를 만드는 것을 뜻하는데요, 관리효율(혹은 편의성)을 생각하면

Dockerfile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해요.

그럼 두번째 이미지를 공유하는 기능에 대해 알아볼게요.

도커는 도커레지스트리를 통해서 공유 할 수가 있어요.

도커의 공식 레지스트리는 Docker Hub가 있는데요,

우분투나 CentOS와 같은 리눅스 배보판의 기본 기능을

제공하고 있어요.

이런 이미지에 애플리케이션, 미들웨어 등을 겹쳐서

도커이미지를 만들어 가는 방식이에요.

공식이미지외에도 개인이 만든 이미지를 도커허브를 통해서

공유 할 수도 있어요.

마지막으로 세번째 컨테이너를 실행시키는 기능이에요.

1편에서 설명드린데로 도커는 컨테이너 단위로 작동을 해요.

이 컨테이너의 바탕이 되는 것이 도커이미지였어요.

이 이미지만 있으면 도커가 걸치된 환경에서는 어디에서라도

작동 시킬수가 있는 방식이죠.

보통 컨테이너 관리는 오케스트레이션 툴을 이용해요.

오케스트레이션툴은 분산환경에서 컨테이너를 실행하기 위한 필요한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어요.

다음에는 도커를 무료로 이용 할 수 있는 툴을 소개해드릴게요.

#도커, #도커이미지, #docker, #도커기능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도커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볼게요.

도커가 세상에 나온지 6년이 지난 지금,

IT관련 직업을 가지고 있지만,

도커를 제대로 알고 있는 사람도 있고

이름 정도만 알고 있는 사람도 있어요.

저 역식도 도커를 이름 정도만 알고 있는 사람 중에 하나에요.

그래서 도커에 대해 하나하나 알아보면서 여러분들과 내용을

공유해보려고 해요.

먼저 도커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파악해 보려고요.

클라우드 시스템으로 인하여 누구나 가상머신을 쉽게 생성하고

관리 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어요.

그러다 보니 예전에는 인프라 인제니어나 오페레이터 업무 였던

구축이 지금은 애플리케이션 엔니지어들에게 요구되고 있어요.

클라우드가 등장하기 전에는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실행환경,

즉 네트워크나 하드웨어는 인프라 엔지니어가 담당을 했어요.

애플리케이션 개발은 애플리케이션 엔지니어가 당담하는 방식이었죠.

 

하지만 클루우드의 등장으로 많은 변화가 생기게 됩니다.

인프라 엔지니어가 수동으로 운영을 하던 환경을 자동화 툴을 사용하여

운영하면서 자연스럽게 인프라 엔지니어에게도 코딩능력을 요구하게 되었어요.

그럼 인프라 엔지니어에게만 업무가 늘어난 것이냐?

애플리케이션엔지니어에게도 애플리케이션의 배포나 테스트등 직접 할 수 있게 되다보니

운영체제나 네트워크 등과 같은 인프라 기술 혹은 지식이 요구되고 있어요.

그럼 클라우드 환경을 위한 도커, 그 도커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컨테이너 기술에 대해서 알아야 해요.

컨테이너라는 운영체제에 논리적으로 누누어서, 애플리케이션 작동을 위한

라이브러리나 애플리케이션등을 모아서 별도의 서버인것 처럼 작동 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에요.

운영체제를 논리적으로 분산시킨 후 여러개의 컨테이너가 공유하는 것이 특징이죠.

컨테이너는 오버헤드가 적기 때문에 가볍고 빠르게 작동 해요.

기존의 방식은 하나의 운영체제에 여러 애플리케이션이 똑같은 자원을 사용하다보면

동일한 디렉토리, 동일한 IP 사용으로 인한 트러블 슈팅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때로는 과부하로 인한 문제들도 생기기도 했죠.

하지만 컨테이너는 운영체제, 디렉토리, IP를 따로 사용 하는 것 처럼 구동을 해요.

또한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필요한 모듈을 컨테이너로 모을 수 있기 때문에

여러 개의 컨테이너를 조합해서 하나의 패클리케이션을 구축 하는 방식으로 많이 활용하죠.

그럼 도커가 어떻게 컨테이너에서 작동을 하는지 설명드릴게요.

프로그램 가발자는 도커를 사용하여 애플리케이션 개발,실행에 필요한

모든 것이 담겨 있는 도커이미지를 작성해요.

생성된 도커이지미가 컨테이너의 바탕이 되는 방식이에요.

그리고 컨테이너를 실행 시킵니다.

이렇게 해서 개발부터 테스트, 실행 환경까지 모두 애플리케이션 엔지니어가

수행을 할 수가 있어요.

이렇게 사용하면 다른 환경에서도 작동하는 환경을 만들수가 있어요.

예를 들어 회사에서 개발 하다가 집에가서도 개발가능한.......(아.....이럼안되.....는ㄷ....)

다음에는 도커의 기능에 대해서 알아 보겠습니다.

​#도커, #docker, #도커기능, #docker기초, #도커설명, #docker설명

 

대한민국 도메인 점유율 공인 1위이며, 도메인, 호스팅, IDC, 기업솔루션, 웹사이트, 쇼핑몰 등 IT 비즈니스에 관한 인프라와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app.ac/wb6WVzl53

 

웹을 넘어 클라우드로. 가비아

그룹웨어부터 멀티클라우드까지 하나의 클라우드 허브

www.gabia.com

출처 : 가비아

한국 기업의 전자결재 문화 알아보기


보고와 결재는 우리나라 기업문화에서 빼놓을 수 없는 부분입니다. 회사마다 보고를 요구하는 문서의 종류도 다르고, 직급 체계나 결재 방식도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한 가지는 공통적입니다. 팀원-파트장-팀장 순으로 차례차례 결재를 받아 의사결정을 진행하고, 그 문서를 보존한다는 점입니다. 

때문에 실적보고, 주간보고, 휴가보고, 지출보고 등 업무 진행이나 의사결정에 필요한 다양한 보고서를 올리고 거기에 사인이나 도장, 전자서명 등으로 결재를 받는 것이 대부분 기업들이 업무를 하는 방식일 것입니다. 이것은 의사결정을 메일로 진행하는 외국 기업들과 가장 다른 점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업무 전산화가 이루어지기 전부터 종이문서로 보고하고 결재하는 문화가 정착해있었습니다. 의사결정구조가 상하 수직적이고, 중앙집권적이며, 위에서 책임지는 형태로 되어 있어 의사결정에는 반드시 보고와 허락이 필요했던 것이죠. 또한 의사결정으로 인해 영향을 받는 부서의 합의와 협조, 참조도 중요한 절차로써 결재 문서 양식에 포함되었습니다.

이런 절차는 인터넷이 보편화되고 업무 전산화가 이루어진 이후에도 관습으로 남아 ‘전자결재’를 탄생시키기에 이릅니다. 그래서 이전에는 결재판을 들고 팀장님 책상 앞을 서성거리거나 결재받은 서류를 차곡차곡 쌓아 보관하는 것이 일상적인 풍경이었다면, 이제는 스마트폰에서 알림을 받고 앱을 통해 결재하는 것이 일반적인 일이 되었습니다.

 

전자결재는 기존의 수직적인 의사결정 구조를 따르기는 했지만, 보고 문화를 크게 바꾸어놓았습니다. 얼굴을 맞대고 실물 도장이나 사인을 받을 필요가 없어지고, 결재자가 부재중일 때도 문제가 없게 되었습니다. 또한 문서 양식이 통일되고 문서 관리가 중앙화되면서 종이문서를 작성하고 관리하는 것에 대한 비효율과 보안 우려도 해소되었습니다. 전자 문서함에 종류별로 문서가 쌓이기 때문에 다시 찾아보는 것이 쉽고, 분실 걱정도 사라졌습니다.

전자결재를 도입하며 일어난 무엇보다 좋은 변화는 의사결정의 속도가 빨라졌다는 점입니다. 전자결재를 사용하기 시작한 기업들은 기존에 결재가 완료되기까지 3주가 걸렸다면 지금은 하루, 빠르면 한 시간 안에 결재가 완료된다고 이야기합니다. 그만큼 전자결재를 통해 불필요한 커뮤니케이션 비용과 비효율을 개선하고 경쟁력과 생산성을 높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전자결재를 통한 커뮤니케이션 문화가 생산성 향상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기업의 노력도 필요합니다. 예를 들면 결재 단계를 축소하거나 요구하는 보고의 종류를 더 간소화하여 의사결정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 

결재는 우리나라의 독특한 기업문화지만 문서에 서명하는 순간 의사결정에 대해 다시 한번 숙고하게 되고, 그에 대한 책임 소재를 분명히 한다는 점에서 메일로만 업무를 하는 것보다 좋은 점이 분명 있습니다. 모두 전자결재를 잘 활용해 업무에 필요한 커뮤니케이션과 의사결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를 바랍니다.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일정 커미션을 지급 받을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회사에서 생산관련 시스템을 구축 하면서

오랜만에 랜선을 만들게 되었어요.

하지만 랜선을 만들기 위한 도구가 전혀 없어서

이번에 세트로 된 도구를 검색하다가 에이프릴 랜툴 세트를

발견 했어요.

https://coupa.ng/bkcTpk

 

에이프릴 랜툴 세트 rj45 커넥터 랜툴기 랜 테스터기 랜케이블

COUPANG

www.coupang.com

가격도 저렴하고 구성도 마음에 들더라구요.

전 B타입으로 구매했어요.

구성은 UTP CAT5 커넥터 20개

RJ45 보호 커버부트 20개

랜케이블 피복제거 툴

I형 커플러(랜선 연장시 사용)

랜선정리 케이블 타이 30~40개

랜테스터기

건전지9V

랜툴

이렇게 들어있어요. 딱 제가 필요한 구성은 다 있더라구요.

가방에 구성품이 있어요.

이 가방을 열어보면 구성품이 나란히 있어요.

구성품을 확인해보면 빠짐없이 왔어요.

랜선을 하나 랜선테스터기에 연결해보니

랜선테스터기도 문제 없이 작동하네요.

이상으로 에이프릴 랜툴세트 후기를 마치며 랜선 만들로 가보겠습니다~

참고로 랜선 만들때 선 배열이에요.

줄주황 주황 줄녹색 파랑 줄파랑 녹색 줄갈색 갈색

#에이프릴랜툴세트, #에이프릴, #랜툴, #랜테스터기, #랜선테스터기, #lan테스터기, #lan선테스터기, #랜테스트, #랜점거, #랜선만들기, #랜선배열

안녕하세요. 현 정부에서 스마트공장 확장을 위해 지속적으로 지원사업을 펼치고 있어요.

스마트 공장이 확대되면 인력감축이 시작되지 않을까하는 우려가 있기는 해요.

스마트공장 -> 인력감축 -> 운영비절감의 공식으로 접근하는 경우가 있더라구요.

하지만 스마트공장은 정확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접근해야 맞는 것 같지만...

현재 방향이라면.........흠....

사업개요

국내 중소ㆍ중견기업 제조 현장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 통합 솔루션 구축 및 구축에 필요한

(솔루션 연동) 자동화장비ㆍ제어기ㆍ센서 등을 지원해 드리는 사업입니다.

 

☞ 도입기업(국내 중소ㆍ중견 제조기업)과 공급기업이 컨소시엄을 이루어 사업신청

 

☞ 기업당 최대 3억원 등 지원

지원분야 및 대상

ㅇ 신청자격

- 도입기업과 공급기업이 컨소시엄을 이루어 사업신청

구 분

내 용

컨소시엄

도입기업

- 국내 중소ㆍ중견 제조기업

*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제14조제1항에 따른 상호출자제한기업 집단에 속하는 기업(대기업)은 제외

- 스마트공장 구축 목표 수준 레벨3 이상

* (레벨1) 부분적 디지털화 → (레벨2) 디지털화 → (레벨3) 데이터 분석 → (레벨4) 시뮬레이션 최적화 → (레벨5) 지능화

공급기업

- 스마트공장 보급기술 및 역량을 보유한 기업 및 협업체

 

ㅇ 지원제외대상

- 다음 부적격 사항에 해당하는 경우 지원 대상에서 제외

* 도입기업과 공급기업 모두 해당

- 부적격 사항

ㆍ 휴ㆍ폐업중인 기업

ㆍ 국세 및 지방세 체납 중인 기업

ㆍ 도입 솔루션과 장비가 연동이 안 되는 업체

ㆍ 유흥ㆍ향락업, 숙박ㆍ음식점

ㆍ 불건전 오락용품 제조업

지원조건 및 내용

ㅇ 지원규모 : 5개* 내외, 기업당 최대 3억원

* 예산 현황 및 신청 수요에 따라 변동 가능

 

ㅇ 지원내용

- IoT, 5G, 빅데이터, ARㆍVR, 클라우드 등 첨단기술을 적용하여 제품개발에서부터 생산·납품까지 업종에 적합한 통합 솔루션 구축 및 구축에 필요한(솔루션 연동) 자동화장비ㆍ제어기ㆍ센서 등 지원

솔루션 분야

지원기준

현장자동화/공장운영 및 실시간 최적화

- 제조현장운영시스템으로서 실시간으로 공정관리, 품질관리, 설비관리를 비롯한 제반의 데이터 집계 및 제어 자동화를 목적으로 개발된 시스템

- 현장자동화는 센서, 컨트롤러 등의 제조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자동화 장치로써 실시간으로 제조현장운영시스템(예, MES)과 연결되어야 함

제품개발 및 공정개발

- CAD/CAE/CAPP/CAM 등의 제품 개발 및 공정개발에 필요한 도구와 연계하여 정보지원을 하는 시스템 (예, PLM)

공급사슬 관리, 최적화

- 수요예측, 생산계획, 공장운영 스케쥴링 등의 제조업 운영 최적화를 지원하는 시스템

- ERP 또는 MES와 연계된 B2B 및 B2C 거래를 지원하는 EDI형 시스템

기업자원 관리

- 기업의 자원을 관리하는 시스템 (예, ERP)

- 입고, 생산, 출하, 재고관리 등의 제반의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이어야 함

빅데이터, AI, CPS 등 최신 솔루션

- 제조현장에 Data 수집 및 저장 인프라

- 돌발고장예측, 품질불량예측 등 솔루션 도입

 

ㅇ 지원조건

- 기업 당 총 사업비의 50%, 최대 3억원 지원

* 총 사업비 중 상기 예산에 따른 지원금을 제외한 비용은 업체가 부담

- 의무사항 : 스마트공장 견학ㆍ연수 프로그램 운영

ㆍ 스마트공장 구축을 희망하는 기업 관계자, 특성화ㆍ마이스터고 학생 등을 대상으로 벤치마킹 및 학습 기회 제공

 

ㅇ 사업기간 : 최대 1년

지원절차

사업공고

신청접수 및 요건검토

현장평가

심사평가(원가계산 포함)

협약 및 사업착수

중간점검

최종감리

완료보고 및 견학·연수(수준확인 포함)

신청방법 및 서류

ㅇ 신청 방법 : 온라인 접수

- 스마트공장 지원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art-factory.kr)

 

ㅇ 신청 서류 : 사업계획서, 사업자등록증, 재무제표 등

가점우대제도

ㅇ 뿌리기술전문기업

ㅇ 사업재편승인기업

ㅇ ISMS 인증 기업

주관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주관기관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담당부서

사업담당부서

전화번호

042-388-0853

홈페이지URL

https://www.smart-factory.kr/

담당자명

사업담당자

접수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접수기관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담당부서

사업담당부서

전화번호

042-388-0853

홈페이지URL

https://www.smart-factory.kr/

담당자명

사업담당자

기타사항

※ 자세한 사항은 중소벤처기업부(www.mss.go.kr) → 알림소식 → 법령정보 → 훈령ㆍ예규ㆍ고시ㆍ공고 참조(☞바로가기)

문의처

ㅇ 사업별 담당기관 연락처

구분

기관명

연락처

공고내용 문의

중소벤처기업부

국번없이 1357

사업문의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042-388-0853, 0855,0861

1644-1736

 

ㅇ 지역별 접수 및 문의처

지역

기관명

연락처

서울

서울 스마트제조혁신센터

02-944-6057

부산

부산 스마트제조혁신센터

051-974-9205

대구

대구 스마트제조혁신센터

053-602-1859

경북

경북 스마트제조혁신센터

053-819-3055

포항

포항 스마트제조혁신센터

054-223-2242

광주

광주 스마트제조혁신센터

062-602-0312

전남

전남 스마트제조혁신센터

061-729-2831

제주

제주 스마트제조혁신센터

064-720-3074

경기

경기 스마트제조혁신센터

031-500-3100

경기북부

경기북부 스마트제조혁신센터

031-539-5140

인천

인천 스마트제조혁신센터

032-260-0626

대전

대전 스마트제조혁신센터

042-930-4821

충남

충남 스마트제조혁신센터

041-589-0705

세종

세종 스마트제조혁신센터

044-865-2153

울산

울산 스마트제조혁신센터

052-219-6633

강원

강원 스마트제조혁신센터

033-248-5675

충북

충북 스마트제조혁신센터

043-270-2334

전북

전북 스마트제조혁신센터

063-832-6053

경남

경남 스마트제조혁신센터

1811-8297

#정부지원, #스마트공장지원, #스마트팩토리지원, #스마트공장구축지원, #스마트팩토리구축지원, #자동화장비지원, #자동화설비지원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정부지원 사업중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사업에 대해 소개시켜드릴게요.

사업개요

국내 중소ㆍ중견기업 제조 현장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 통합 솔루션 구축 및 구축에 필요한(솔루션 연동) 자동화장비ㆍ제어기ㆍ센서 등을 지원해 드리는 사업입니다.

 

☞ 국내 중소ㆍ중견 제조기업

 

☞ 기업당 최대 3억원 등 지원

지원분야 및 대상

ㅇ 신청자격

- 도입기업과 공급기업이 컨소시엄을 이루어 사업신청

구 분

내 용

컨소시엄

도입기업

- 국내 중소·중견 제조기업

*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제14조제1항에 따른 상호출자제한기업 집단에 속하는 기업(대기업)은 제외

- 스마트공장 구축 목표 수준 레벨3 이상

* (레벨1) 부분적 디지털화 → (레벨2) 디지털화 → (레벨3) 데이터 분석 → (레벨4) 시뮬레이션 최적화 → (레벨5) 지능화

공급기업

- 스마트공장 보급기술 및 역량을 보유한 기업 및 협업체

 

ㅇ 지원제외대상

- 다음 부적격 사항에 해당하는 경우 지원 대상에서 제외

* 도입기업과 공급기업 모두 해당

- 부적격 사항

ㆍ 휴·폐업중인 기업

ㆍ 국세 및 지방세 체납 중인 기업

ㆍ 도입 솔루션과 장비가 연동이 안 되는 업체

ㆍ 유흥·향락업, 숙박·음식점

ㆍ 불건전 오락용품 제조업

지원조건 및 내용

ㅇ 지원규모 : 5개* 내외, 기업당 최대 3억원

* 예산 현황 및 신청 수요에 따라 변동 가능

 

ㅇ 지원내용

- IoT, 5G, 빅데이터, AR·VR, 클라우드 등 첨단기술을 적용하여 제품개발에서부터 생산·납품까지 업종에 적합한 통합 솔루션 구축 및 구축에 필요한(솔루션 연동) 자동화장비‧제어기‧센서 등 지원

솔루션 분야

지원기준

현장자동화/공장운영 및 실시간 최적화

∙ 제조현장운영시스템으로서 실시간으로 공정관리, 품질관리, 설비관리를 비롯한 제반의 데이터 집계 및 제어 자동화를 목적으로 개발된 시스템

∙ 현장자동화는 센서, 컨트롤러 등의 제조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자동화 장치로써 실시간으로 제조현장운영시스템(예, MES)과 연결되어야 함

제품개발 및 공정개발

∙ CAD/CAE/CAPP/CAM 등의 제품 개발 및 공정개발에 필요한 도구와 연계하여 정보지원을 하는 시스템 (예, PLM)

공급사슬 관리, 최적화

∙ 수요예측, 생산계획, 공장운영 스케쥴링 등의 제조업 운영 최적화를 지원하는 시스템

∙ ERP 또는 MES와 연계된 B2B 및 B2C 거래를 지원하는 EDI형 시스템

기업자원 관리

∙ 기업의 자원을 관리하는 시스템 (예, ERP)

∙ 입고, 생산, 출하, 재고관리 등의 제반의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이어야 함

빅데이터, AI, CPS 등 최신 솔루션

∙ 제조현장에 Data 수집 및 저장 인프라

∙ 돌발고장예측, 품질불량예측 등 솔루션 도입

 

ㅇ 지원조건

- 기업 당 총 사업비의 50%, 최대 3억원 지원

* 총 사업비 중 상기 예산에 따른 지원금을 제외한 비용은 업체가 부담

- 의무사항 : 스마트공장 견학‧연수 프로그램 운영

ㆍ 스마트공장 구축을 희망하는 기업 관계자, 특성화‧마이스터고 학생 등을 대상으로 벤치마킹 및 학습 기회 제공

 

ㅇ 사업기간 : 최대 1년

지원절차

사업공고

신청접수 및 요건검토

현장평가

심사평가(원가계산 포함)

협약 및 사업착수

중간점검

최종감리

완료보고 및 견학·연수(수준확인 포함)

신청방법 및 서류

ㅇ 신청 방법 : 온라인 접수

- 스마트공장 지원사업 종합관리시스템(www.smart-factory.kr)

 

ㅇ 신청 서류 : 사업계획서, 사업자등록증, 재무제표 등

가점우대제도

ㅇ 뿌리기술전문기업

ㅇ 사업재편승인기업

ㅇ ISMS 인증 기업

주관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주관기관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담당부서

사업담당부서

전화번호

042-388-0853

홈페이지URL

https://www.smart-factory.kr/

담당자명

사업담당자

접수기관 담당부서 및 담당자

접수기관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담당부서

사업담당부서

전화번호

042-388-0853

홈페이지URL

https://www.smart-factory.kr/

담당자명

사업담당자

기타사항

※ 자세한 사항은 중소벤처기업부(www.mss.go.kr) → 알림소식 → 법령정보 → 훈령ㆍ예규ㆍ고시ㆍ공고 참조(☞바로가기)

문의처

ㅇ 사업별 담당기관 연락처

구분

기관명

연락처

공고내용 문의

중소벤처기업부

국번없이 1357

사업문의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042-388-0853, 0855,0861

1644-1736

 

ㅇ 지역별 접수 및 문의처

지역

기관명

연락처

서울

서울 스마트제조혁신센터

02-944-6057

부산

부산 스마트제조혁신센터

051-974-9205

대구

대구 스마트제조혁신센터

053-602-1859

경북

경북 스마트제조혁신센터

053-819-3055

포항

포항 스마트제조혁신센터

054-223-2242

광주

광주 스마트제조혁신센터

062-602-0312

전남

전남 스마트제조혁신센터

061-729-2831

제주

제주 스마트제조혁신센터

064-720-3074

경기

경기 스마트제조혁신센터

031-500-3100

경기북부

경기북부 스마트제조혁신센터

031-539-5140

인천

인천 스마트제조혁신센터

032-260-0626

대전

대전 스마트제조혁신센터

042-930-4821

충남

충남 스마트제조혁신센터

041-589-0705

세종

세종 스마트제조혁신센터

044-865-2153

울산

울산 스마트제조혁신센터

052-219-6633

강원

강원 스마트제조혁신센터

033-248-5675

충북

충북 스마트제조혁신센터

043-270-2334

전북

전북 스마트제조혁신센터

063-832-6053

경남

경남 스마트제조혁신센터

1811-8297

 

 

올해의 베스트 앱

 

playapp.me

 

http://playapp.me/appbox/29b733

 

올해의 베스트 앱

 

playapp.me

 

+ Recent posts